이는 한국과 미국 정부가 요구하는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 등 핵개발 프로그램 가동 중단 요구를 거부한 발언으로 보인다.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대변인은 “핵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권리는 우리나라의 자주권과 발전권에 속하는 사활적인 문제로 추호도 양보할 수 없고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그는 “자기 할 바는 하지 않고 남에게 일방적인 요구를 강박하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며 “우리의 평화적 핵활동을 비법화하거나 무한정 지연시키려는 시도는 단호하고 결정적인 대응조치를 불러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은 지난 22일 서울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6자회담이 재개되려면 UEP 중단을 포함한 비핵화 사전조치를 이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어 당분간 6자회담 재개는 어려울 전망이다.
대변인은 “우려되는 것이 있다면 6자회담에서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그의 평화적 성격을 확인시켜줄 수 있다는 신축성 있는 입장도 표명했다”고 말해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2차 북미 고위급 대화에서 IAEA 사찰단의 수용 의사를 밝혔음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6자회담을 재개하고 동시행동 원칙에 따라 9·19공동성명을 단계별로 이행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며 조건없는 6자회담 재개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결정적인 대응조치‘에 대해 북한이 내년 한미 양국의 대선정국을 앞두고 경수로 본격 가동이나 제3차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실시해 6자회담과 북미회담 재개를 압박하는 것이 아니냐고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