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유승민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이 7일 전격적으로 당직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당 지도부가 사실상 붕괴됐고, 홍준표 대표 역시 “재창당의 계획이 있다”며 당 해체를 사실상 인정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후 격론이 예상되는 재창당 과정에서 현재 한나라당 당적을 두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과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정리될 전망이다.
유 최고위원은 7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며 사퇴를 밝혔다.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도 잇달아 기자회견을 열고 사퇴의사를 표했다.
원 최고위원은 “기득권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과 해체작업이 있어야 한다”며 “보수정치의 새집을 짓기 위해서는 노후건물을 철저히 철거해야만 한다. 새로운 정치운동을 해야 한다”고 사퇴와 함께 ‘한나라당 해체’를 주장했다.
남 최고위원은 “국민 여러분께 정부ㆍ여당 지도부의 일원으로써 국정운영을 제대로 바로잡지 못한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혁신을 이뤄내기 위해 한 명 국민의 마음으로, 당원의 마음으로 모든 것을 던지고 바치겠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대표는 이에 기자회견을 통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지만 책임감 있게 행동하겠다”며 즉각 사퇴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쇄신에 대한 정면 돌파 의지를 나타냈다.
이에 홍 대표는 “최고위원 3명의 사퇴에 대한 충정을 이해하고 쇄신의지를 받아들인다”면서도 “그러나 최고중진 의원들의 판단은 사표를 반려하자는 것”이라고 이들의 사퇴에 대한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다.
홍 대표는 이어 “재창당 계획이 있다”면서 “재창당할 수 있는 로드맵과 대안을 갖고 있으나 지금 말할 시기가 아니기 때문에 말하지 않는 것”이라며 향후 당이 재창당의 수순으로 갈 경우에도 자신이 중심에서 이끌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날 사퇴를 밝힌 세 최고위원이 현 지도부의 한계를 분명한 사퇴의 이유로 꼽은 만큼 향후 당 해체는 시간문제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현재 여권에 대한 민심 이반이 이명박 정부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식이 당내에 팽배한 만큼 이후 이 대통령의 당적 문제도 논의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