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세 원장은 이날 오후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감원·금융연구원·보험연구원 공동심포지엄 기조연설을 통해 “가계부채 문제는 국내 경제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며 올 3분기말 가계부채 규모가 약 900조원 수준“이라며 이같이 발혔다.
권 원장은 또한 최근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생계형 자금대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경기 악화시 저신용·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가계부실이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가계부채는 오랫동안 누적돼 온 사안인 만큼 서두르지 않고 긴 호흡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경제양극화와 내수 침체로 중산·서민층의 생계형 자금수요가 증가한다는 점을 감안, 자금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면서 “장기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비중 확대 등 질적 구조도 개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권 원장은 기업의 위기 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배당 자제를 촉구했다.
권 원장은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중국의 성장둔화 우려로 인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외환시장과 자본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그는 수출 둔화로 인한 기업의 자금애로 증대와 경제 양극화와 내수 침체로 인한 가계 부채 부실 가능성 등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권 원장은 ”금융사들은 대손준비금과 내부 유보금을 충분히 적립해 위기 대응능력을 높이고, 선제적 구조조정과 신속한 부실정리 등을 통해 자산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김영린 금감원 거시감독국장은 ‘글로벌 금융불안의 진행과정과 감독상 이슈’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비은행 금융회사의 리스크 관리를 감독하기 위해서는 규제의 일관성과 다중채무자 및 새마을금고 등 사각지대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구본성 금융연구원 기획협력실장은 ‘은행 부문의 대응방안과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은행권의 이익안정화, 손싱부담 능력 확대, 자본력 확대, 외화안정성 등이 종합적으로 연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