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낡은 보수와 무책임한 진보가 정파적 이해만 가지고 대립하는 가운데 국민들이 정치의 변화를 바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응답하지 못하는데 절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나라당이 이제까지 가졌던 모든 기득권에 연연하지 않고 과감히 문호를 개방하고 새로운 정치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신당으로 거듭나길 간절히 희망해 왔다”며 “그런데 다시 확인한 것은 한나라당이 기득권을 버리기 보다 여전히 지금의 정치구조 속에 안주하려는 모습을 버릴 수 없다는 것”이라고 탈당 결심 배경을 설명했다.
정 의원은 “저의 탈당이 한나라당이 근본적으로 변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향후 불출마와 연계 가능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고민해서 밝히겠다”고 답했다.
쇄신파인 정 의원은 앞서 한나라당의 재창당을 주장하며 박근혜 전 대표가 의총장에 나와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함께 토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외부 세력과 연계됐다는 의혹이 있다”는 질문에는 “함께 재창당을 논의했던 이들의 입장은 박근혜 전 대표를 포함해 한나라당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 놓는 것이 전제가 돼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이 모습으로 한나라당이 새롭게 가기는 어렵다고 생각했다”고 즉답을 피했다.
정 의원과 함께 의총장 밖에서 탈당 의사를 밝힌 쇄신파 김성식 의원이 한나라당을 떠남에 따라 이번 사태가 향후 쇄신파들의 ‘탈당 러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