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김 위원장 사망 직후부터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의 호칭을 전대 지도자의 반열에 올려놓더니 공식 애도기간이 끝난 다음날인 30일에는 당 정치국 회의를 열어 김 부위원장을 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전격 추대했다.
현재의 속도라면 곧 최고인민회의를 열어 김 부위원장을 최고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추대할 가능성도 있다.
김 부위원장의 군권 장악은 김 위원장의 선군정치를 계승한다는 점도 있지만, 군권부터 가져야 정치적 불안정과 지속적인 경제난 속에서 체제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속내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이 1990년대 중반 기아사태 때 군을 동원해 사회 이완현상을 막고 체제를 지킨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김 위원장 영결식 때 금수산기념궁전 광장이 전부 무장한 호위사령부 군인들로 채워졌고, 영결식 연도에 군인들로 채워진 것도 김정은 체제 안정화 과정에서 군의 역할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새 지도부의 이 같은 속도전 양상을 볼 때 김 부위원장이 머지않아 노동당 총비서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군권 장악에 이어 당권 장악을 위해 당 최고 직책도 부여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김정은 체제의 안정은 북한 권력층에는 사활이 걸린 문제다. 김일성-김정일 체제를 지탱해온 권력층에는 김정은 체제가 무너지면 함께 망한다는 위기의식이 자리하고 있다.
권력암투보다는 김정은 체제 안정과 고수가 더 시급해 똘똘 뭉쳐야 하고 이를 대내외에 과시해야만 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김정은 체제가 점차 안정을 찾기 시작하면 후계체제 구축과정에서 나타난 권력 내부의 갈등이 다시 고개를 들 수도 있다는 개연성도 내놓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