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자료를 보면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2010년 12월 7.10%에서 2011년 11월 8.27%로 1.17%포인트 올라 1년 사이에 16.5%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폭인 7.3%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일반신용대출은 은행의 신용대출 중 집단대출을 제외한 것으로, 전년 말 대비 일반신용대출 금리 상승폭은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8월 12.1%, 9월 16.5%, 10월 15.8%, 11월 16.5% 등 4개월 연속으로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일반신용, 주택담보, 예·적금담보 대출 중에서 대출액이 500만원 미만인 소액대출 금리도 2010년 말 6.65%에서 지난해 11월 7.18%로 8.0% 상승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가계대출 금리가 전반적으로 올르고 신용대출이나 소액대출은 새희망홀씨대출 등 저신용자 위주의 고금리 소액대출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같이 서민대출의 금리가 오르면서 생활비 등을 위해 급전이 필요한 저소득층이나 신용도가 낮은 서민들의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3분기 소득 하위 20%에 속하는 1분위 가구(전국 2인 가구 기준)의 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5%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매월 100만원을 번다면 그 중 2만5000원은 이자로 나간다는 뜻이다.
또한 매년 1~3분기 기준 소득 대비 이자 비중은 2003년 2.4%에서 2004년 1.9%, 2005년 2.4%, 2006년 1.9%, 2007년 2.0%, 2008년 1.8%, 2009년 2.0%, 2010년 2.1%를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올해는 경기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돼 이런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도 불황이 더욱 심해져 김준금리가 인하할 경우 대출금리는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