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제금융센터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계 IB들은 2011년 한국 증시에서 7조7000억원가량을 순매도한 외국인 투자자들이 올해는 순매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씨티그룹의 경우 2012년과 2013년 아시아 지역의 경제성장률이 각각 6.9%, 7.3%의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며 따라서 올해 아시아, 특히 한국과 태국 증시의 비중을 늘리라고 권고했다.
모건스탠리 또한 “한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이 세계경제 침체에 대응하고자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 이는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와 태국, 필리핀 증시에는 투자비중 축소, 대만과 인도에는 중립 의견을 내놓은 노무라증권도 한국에는 비중 확대 견해를 제시했다.
한국 주식시장이 다른 신흥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고 지난해 주가 상승률(-11%)이 필리핀(4.1%)이나 인도네시아(3.2%), 태국(-0.7%) 등보다 낮아 그만큼 오를 여지가 많다는 이유에서다.
IB들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이 한국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긍정적 평가와 미국 경기지표 개선에 따른 투자심리 회복도 한국 증시 낙관론의 근거로 들고 있다.
IB들은 “한국이 장기적으로는 경기둔화에 대응하고자 정책금리를 내릴 개연성이 크고 양호한 경제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유럽 재정위기의 해법 마련 작업이 지지부진하고 세계경기가 둔화해 외국인 매수세가 크지 않거나 순매도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프랑스, 러시아, 한국, 대만, 인도 등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정치적 불확실성과 각국의 정책 변화로 외국인 투자심리가 움직일 수 있다는 점도 변수로 들었다.
한편 지난해는 일본 대지진, 유럽재정 위기, 미국 신용등급 하향, 세계경기 둔화 우려가 잇따라 한국 증시에 악재로 작용한 탓에 외국인 투자자가 3년 만에 순매도를 기록했다.
순매도액은 69억6300만달러다. 연평균 환율(1107.90원)로 환산하면 약 7조7000억원에 달한다.
외국인은 지난해 11월에만 23억4500만달러 규모를 팔아 치웠다. 12월에는 순매도액이 전월의 7분의 1 수준인 3억2600만달러로 떨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