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운용사는 이날 시장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미 유로존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시장 참여자들이 예상하고 있었던 만큼 그 여파는 제한적으로 것"이라며 "특히 유럽재정안정기급(EFSF) 채권은 유동성 면에서 이를 대체할 자산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EFSF 주요 출자국가인 프랑스의 최상위 신용등급 상실로 앞으로 EFSF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고 채권발행에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추가로 존재하지만 미국 국채가 신용등급 강등 이후에도 강세를 보였던 점을 감안하면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데이비드 심너 피델리티자산운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신용등급 강등 이후 이탈리아와 스페인 국채가 약세를 보이게 되면 유럽중앙은행(ECB)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기적으로 변동성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로 시장에 큰 여파는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