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 정상선언에 `고농축우라늄 최소화‘ 명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18 17: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울 코뮈니케 문안 합의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외교통상부는 지난 16~17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제3차 교섭대표회의에 참석한 50개 참가국과 4개 국제기구 대표가 핵 물질이 테러에 이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민수용 고농축우라늄(HEU)의 사용을 최소화하자는 원칙에 합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오는 3월 26~27일 서울에서 열리는 정상회의를 2개월여 앞두고 열린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정상선언문(서울 코뮈니케) 문안 △정상회의 논의주제 △정상회의 의전 준비상황 등을 논의했고 대부분 합의가 이루어졌다.
 
 정부 당국자는 “연구용 원자로나 의료분야 등에 사용되는 민수용 HEU를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HEU와 플루토늄 등 핵물질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자는 문안이 정상선언문에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코뮈니케에는 △핵물질과 방사성 물질의 안전한 관리 △원자력시설의 보호 △핵ㆍ방사성물질의 불법거래 방지 △핵 감식 및 핵 민감정보 보호 △핵안보 관련 협약의 보편적 적용 확대 △국제기구 및 다자협의체 활동 강화 등 핵 테러 방지를 위한 포괄적인 실천조치들이 담길 예정이다.
 
 '워싱턴 코뮈니케'가 핵 테러를 최고의 국제안보위협으로 간주하고 테러리스트의 핵물질 취득을 막는데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코뮈니케에서는 더 나아가 변화된 안보환경에 맞춰 새로운 실행목표와 계획을 이끌어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년 전 워싱턴에서 열린 1차 핵안보정상회의 이후 17∼18개국이 HEU를 폐기하거나 민수용 저농축 우라늄(LEU)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어 다른 참가국도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결단‘을 내릴 것인지 여부도 주목된다.
 
 일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 원전시설에 대한 테러리스트들의 공격 가능성이 대두하면서 ’핵안전‘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것도 눈길을 끌고 있다.
 
 다만 군사용 HEU의 안전한 관리 의무를 명문화하는 문제 등을 놓고는 핵보유국과 비보유국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추가 협의가 불가피하다.
 
 교섭대표들은 서울 정상회의 직전 마지막 교섭대표 회의를 갖고 정상선언문을 최종 협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