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청와대는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직접적인 대응은 자제하며 ‘무시전략’을 구사했다.
당 역시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긴급히 진화에 나섰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한나라당 원희룡 의원의 주최로 열린 ‘새로운 보수가치와 한나라당 비대위의 과제’ 토론회에 참석해 “최고 통치자가 그 정도 정치적 감각이 없다면 상당히 문제가 복잡하다”며 우회적으로 이 대통령의 탈당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발언의 배경과 진의를 파악 중인데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따라서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황영철 대변인 역시 브리핑을 통해 “김 비대위원의 발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다만 정부와의 정책 차별을 강조하기 위한 취지의 발언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사실상 현재 한나라당의 지도부 역할을 하고 있는 비대위의 수장격인 김 비대위원이 대통령의 탈당을 시사함에 따라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현 정부와 한나라당이 어느 정도 차별화를 못하면 현재로서는 유권자의 호응을 받기 어렵다”며 “이를 인식해야 하는데, 일부 계파는 맹목적으로 현 정부를 옹호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고 친이(친이명박)계를 겨낭하기도 했다.
그는 “총선이 현 정권 심판론으로 가면 어렵고, 이 부분이 제일 걱정스럽다”며 “현 정권이 한 실수를 솔직하게 시인하고 다른 방향으로 간다고 천명하는 방법으로 차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대위가 청와대에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없고 스스로 피해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