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농림수산식품부·한국식품연구원 등에 따르면 세계적인 다국적 식품회사 '네슬레' 등은 김치·된장·간장 등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면서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세계 유수 식품회사에서 우리 전통식품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사업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김치만 하더라도 전 세계에 1200억원이 넘게 팔렸고, 선진국 중심의 웰빙트렌드에 비춰보면 전통식품에 대한 잠재력은 무한하기 때문에 해외에서 욕심을 부린다는 게 농식품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장대자 식품연구원 박사는 "조리법만을 음식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벗어나 지리서 역사서 문집 등 식품이 기록된 고문헌속에 우리의 식문화를 찾아내 세계에 공개해야할 때"라며 "전통식품을 중심으로 문화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면 한식으로 한류를 바람을 일으켜 국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전통식품은 우리나라가 장기간 발전시키고 전승·보유해 온 전통지식이다. 독점적인 우리 고유의 권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UN산하의 지적재산권 관련 협약기구를 통해 전통지식과 자원에 대한 종주권(Sovereign right)을 주장하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학문이나 정책 등은 음식의 맛이나 조리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식세계화 사업만 보더라도 조리법에 관련한 사업이 대부분이다.
이에 권대영 식품연구원 박사는 "일본·태국·중국·인도의 음식은 각국의 고유 문화를 음식에 접목해 세계화에 성공한 좋은 사례"라며 "우리나라도 조상들이 꼼꼼히 적시한 수많은 종류의 고문서·역사서·생활백과서·지리서·법률서 등에서 식품과 관련된 역사 기록을 발췌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국제적인 지식체계기준에 따라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해 전세계에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떡국의 경우도 예로부터 떡을 1년에 한번 설날에 만들었기 때문에 꽤 많은 양을 만들었을 것이고, 남은 떡을 오래 두고 먹어야 하므로 말려서 보관했을 것"이라며 "보관하면서 떡국 이외에 떡복이, 떡 잡채 등 떡을 이용한 수많은 음식이 나오기도 하고 떡을 구어서 종기에 붙이는 등 민간요법이 탄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대장금이라는 드라마의 탄생 비화가 바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음식으로 왕실사람들의 건강상태를 관리한 기록이 단초가 된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정부부처에서 우리나라 국가지식을 축적하는 사업이 식품이외에 다른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어 식품에 대한 뿌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지만 식품분야에서 우리식품문화로 재해석하고 현존하는 조리법의 원형을 찾는 등 본격적인 식품분야 국가지식체계화 사업은 발도 넣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특허청은 지난 2003년부터 전통지식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계획을 수립하고 한의약DB 구축에 2005년부터 현재까지 총사업비 15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반면 전통식품 분야는 지난해 기준 3억4000만원을 투자, 시작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행정안전부 국가지식정보화사업은 과거 10년간 매년 200억이상을 집행하고 있지만 식품분야는 전무한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