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조선 및 철강업계에 따르면 후판을 공급하는 철강업계와 후판을 사용하는 조선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나눴지만, 서로의 입장을 확인하는 수준에서 간담회가 마무리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조선업계와 철강업계 모두가 각사의 애로사항을 토로하기에 급급했다”며 “발전적인 결론이나 절충안을 도출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조선업계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발주 감소의 어려움과 선가 하락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등을 토로했다.
철강업계는 재고 및 원료 가격 부담 등의 힘든 경영 여건을 하소연했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후판 가격 인하 여부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업계는 가격 담합 등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조사를 받은 적도 있어 가격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했다. 최근 삼성이 담합 근절을 선언하는 등 사회적 분위기가 공정거래 준수를 강요하고 있어 더욱 예민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철강업계에서는 회의 시작 전 ‘공정거래법 준수를 위한 행동준칙 및 가이드라인’ 유인물을 참석자들에게 배포하기도 했다.
가격은 각 사가 개별적으로 협상하기 때문에 이번 간담회에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기는 사실상 불가능했다. 각 사의 물량이 달라, 공급 가격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후판 영업담당 부서장급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STX조선해양, 한진중공업 등 후판 구매담당 부서장급이 참석했다.
이번 자리를 마련한 한국조선협회와 한국철강협회 관계자도 배석했다.
당초 간담회는 조선-철강 산업이 상생할 수 있도록 의견을 모아보자는 취지로 처음 열렸다.
철강업계 입장에서는 이번 간담회가 고객사인 조선업계의 의견을 듣고, 고객들이 원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미가 컸다. 올해 주로 건조할 선박 및 해양플랜트 현황을 확인하고, 제품 사양에 맞는 최고의 후판을 생산하려는 것이다.
조선업계 역시 원하는 제품 사양과 퀄리티를 철강업계와 사전에 공유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조선산업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