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농산물 직거래 실적은 1조2천695억원으로 2010년 1조4천67억원보다 10.8% 감소했다. 특히 지난 2009년 1조5천289억원에 비하면 2,594억원이나 줄어든 것으로, 도는 계속된 경기불황과 고물가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기업형 슈퍼마켓과 대형유통업체 급증 등을 주된 요인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도는 유통마진 및 단계 축소, 유통경로 다양화, 직거래장터 확대 등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는 생활공감형 직거래 활성화대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지역 농산물(Local Food) 개념의 정례 직거래 장터를 운영한다. 과천경마공원 바로마켓, 경기도청 토요장터, 경기농협금요장터 등 공공부지나 주거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장터를 개설하고,유동인구가 많으면서도 주변상권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지역에 소비자 맞춤형 직거래 장터를 개설한다. 이를 위해 명절 특판, 김장철 기획전, 지역축제 연계 장터 등을 열고 경기국제항공전, 도자기축제 등 경기도에서 개최하는 대형 행사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청사 등 관공서에 직거래 장터를 개설해 경기미, 잎맞춤배, 가평잣 등 특산물 판촉을 펼칠 예정이다.
경기사이버장터(kgfarm.gg.go.kr)도 소셜커머스 및 모바일웹(경기콕몰) 도입, 맞춤형 상품 개발, 타도 지자체 특산물 판매 등 다양한 마케팅으로 고객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도 농산물유통과 관계자는 “농산물 직거래 판매 확대는 도내 농가의 소득 향상과 소비자들의 가계 부담을 더는 두 가지 효과가 있다”며 “품질 좋고 가격도 저렴한 경기 농산물이 많이 판매될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