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미래에셋부동산연구소가 발표한 '한·일 인구구조변화로 본 국내 주택시장의 시사점'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은퇴한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는 은퇴 후 서울 도심보다 인근의 신도시나 경기도 지역을 주거지로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는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인 '단카이 세대'가 은퇴 후 신도시 자가 거주를 선호했던 것과 비슷하다.
보고서는 따라서 단카이 세대의 자녀들이 부모와는 달리 일자리를 찾아 도심 임대주택에서 거주하는 것처럼 우리나라 3차 베이비붐 세대도 직장이 있는 도심에서 전·월세 거주를 선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0년 이후 주택시장에 진입할 4차 베이비붐 세대도 3차 베이비붐 세대와 비슷한 모습을 보일 전망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3·4차 베이비붐 세대는 부모에게서 독립해 일자리를 찾아 도심으로 이동하지만 이미 높게 책정된 도심 집값과 잦은 이동이 불가피한 생활 여건상 자가보다 임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과거 1·2차 베이비붐 세대가 주택시장에 진입할 때는 집값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3·4차 세대의 경우에는 집값 상승 압력보다는 임대료 상승 압력이 더 클 것이라는 얘기다.
이 관계자는 "새로운 베이비붐 세대가 임대에서 매매로 이동하는 비중은 거시경제 회복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앞으로 단기간 매매 차익보다는 긴 호흡으로 주택시장 흐름을 바라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