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은퇴준비지수 낙제점 겨우 면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02 15: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김종운 메트라이생명 사장이 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메트라이프 통합은퇴준비지수(MetLife Integrated Retirement Readiness Index, MIRRI)’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전하고 있다.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우리나라 베이비부머(Baby boomer)세대의 은퇴준비가 낙제점을 겨우 면할 만큼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트라이프생명과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가 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발표한 ‘메트라이프 통합은퇴준비지수(MetLife Integrated Retirement Readiness Index, MIRRI)’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1955~1963년 출생한 국내 베이비부머 표본인구 3783명의 MIRRI는 62.22점(100점 만점)이었다.

MIRRI는 재정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췄던 기존 은퇴준비지수와 달리 재정, 건강, 심리, 사회 등 총 4가지 영역을 지표화한 국내 최초의 통합적 은퇴준비지수다.

연구책임자인 한경혜 서울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이번 지수는 60점을 낙제 기준으로 여기는 일반적인 관례상 낙제점을 겨우 면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영역별 점수는 사회적 관여가 68.6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66.36점), 심리(61.3점), 재정(52.6점) 순이었다.

특히 재정은 점수가 50점 초반대에 불과해 베이비부머들이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라는 분석이다.

이번 연구는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준비에 LPA(Latent Profile Analysis)기법을 적용해 총 5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조사 참여자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45.8%는 사회적 관여(73.00점) 지수가 가장 높고 재무(56.17점)지수가 가장 낮은 평균형이었다.

나머지 유형은 준비부족형(25.8%), 준비상태 양호형(14.7%), 사회적관계 취약형(10.1%), 고위험형(3.6%)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한 교수는 “베이비부머들은 전반적으로 은퇴준비 정도가 미흡하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 “MIRRI는 재정적, 비재정적 준비를 통합해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준비 양상을 살펴보는 최초의 시도”라며 “5가지 은퇴준비 유형별로 특성을 파악한 결과는 은퇴준비에 대한 개인과 국가의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MIRRI 연구결과는 올해 미국에서 열리는 미국노년학회(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에 소개될 예정이다.

김종운 메트라이프생명 사장은 “MIRRI 개발은 사업적 목적과 무관하다”며 “사회적 화두인 은퇴준비에 대해 국민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