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함은정 트위터> |
함은정은 귀가 중 집 근처에서 넘어져 왼쪽 무릎의 슬개골 지지대가 파열되는 사고를 당한 것으로 알려진다.
함은정의 무릎 손상은 이번이 세 번째다.
처음으로 무릎을 다쳤을 때는 왼쪽 무릎 슬개골 쪽의 내측부 인대 손상을 입었고, 다음에는 계단에서 왼쪽 발목을 접질렸다.
공교롭게도 다친 곳이 모두 ‘왼쪽 다리’였다.
전문의들은 처음 다쳤을 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한 것이 화근이라고 본다.
실제 함은정은 바쁜 스케줄 탓에 진통제에 의존한 채 드라마 촬영 등 바쁜 스케줄을 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호 하이병원 원장은 “부상으로 관절 범위가 축소되고 인대가 약화된 상태에서 무리한 운동이나 과로 등을 하면 피로성 골절이나 통증재발 등이 계속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이병원이 최근 성인 남녀 120명을 대상으로 발목불안정증 환자에 대한 실태조사를 가진 결과 58%(70명)가 과거에 다쳤던 발목을 자주 다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94%(66명)는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거나 병원에 가지 않는 등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았다.
무릎 부상을 입었다면 휴식과 재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휴식을 통해 초기 염증, 부종, 통증을 제어할 수 있다.
손상된 근육과 건, 인대 등의 회복에는 재활 치료가 필수적이다.
김 원장은 “무릎 부상 재발을 방지하려면 허벅지 근육과 무릎 인대의 수축 능력이 정상치의 최소 80%까지 회복된 후 순차적으로 신체 활동을 재개하는 것이 좋다”며 “전문 의료진과 처방사의 지도 아래 목발·보조기 착용기간, 체중 부하 분산 요령, 등척성 훈련, 관절 유연화 훈련 등을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