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우리 정부가 올해 들어 `기회의 창’ 등을 언급하며 남북관계 개선과 북한의 호응을 촉구하고 있지만 2일 북한은 우리 정부에 국방위원회 명의로 `공개질문장‘을 보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른 조문 태도를 사죄하라고 요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일 공개질문장에 “남조선당국이 제 입으로 북남대화 재개와 관계개선을 바란다고 광고한 이상 다음과 같은 공개질문에 명백히 대답할 것을 촉구했다”며 9개 질문사항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에 정부는 “정부는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중요한 시점에서 북한이 선전차원의 억지주장을 하는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는 북한이 제기한 문제들에 대해 일일이 대꾸할 필요가 없다고 보고 있다”면서 “현재 상황에서 북한이 더이상 민족과 국제사회의 기대를 저버리지 말고, 우리의 대화재개 노력에 진정성을 갖고 호응해오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북측이 공개질문장을 내놓은 배경에 대해서는 “공세적으로 자신들의 입장을 선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같은 입장표명 외에 북측에 별도로 관련 내용을 통보할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북측 국방위 정책국은 이날 공개질문장에서 김 위원장 조문과 관련한 사죄, 6ㆍ15공동선언과 10ㆍ4선언 이행 의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사건을 더이상 헐뜯지 않겠다는 공언, 한미 합동군사연습 전면 중단 등 총 9개 사항에 대한 답변을 촉구했다.
공개질문장에 따르면 “민족의 대국상 앞에 저지른 대역죄를 뼈저리게 통감하고 사죄할 결심이 돼있는가”라며 “역사적인 6·15공동선언과 그 실천강령인 10·4선언을 전면이행할 의지를 내외에 공식 표명하겠는가”라고 남북 공동선언 이행을 촉구했다.
또 “천안호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을 걸고 우리를 더이상 헐뜯지 않겠다는 것을 세계 앞에 공언할 수 있는가” “우리를 과녁으로 삼고 벌이는 대규모적인 합동군사연습을 전면중지할 정책적 결단을 내리겠는가”라고 요구했다.
공개질문장은 “조선반도의 비핵화에 대한 그릇된 견해를 버리고 비핵화를 위한 실천에 발을 잠글 결심이 돼 있는가”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대북심리전 중지 △남북교류 재개 및 활성화 △정전체제의 평화체제 전환에 대한 호응 △국가보안법 폐지 등에 대한 용의를 물었다.
질문장은 “리명박 역적패당이 저들의 처지를 똑바로 알고 북남대화와 관계개선에 대하여 함부로 떠들지 말아야 하며 저들이 대화의 상대가 되는가를 스스로 돌이켜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이 같은 공개질문장을 내놓음에 따라 향후 남북관계 경색 국면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것은 질문장은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이 남측에 있다는 북측의 주장을 굳히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