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수출은 ‘95년 174만불을 수출한 이래 11배가 증가한 수치로 지속적인 증가세에 있으며, 막걸리 수출국도 일본, 미국, 중국, 대만 등 30여개국으로 확대되어 전국 수출 5,276만불의 38%를 차지하는 등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막걸리 수출확대는 일본의 막걸리 소비 증대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동안 막걸리 업체의 노력과 한류의 영향이 어우러져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기 때문으로 일본으로 수출된 18천톤을 750㎖ 막걸리 한병으로 환산할 경우 24백만병으로 이는 일본인 5명중 한명이 경기 막걸리를 마신 셈이다.
또한 막걸리 수출 2천만불은 152명의 고용창출, 412억원의 생산유발, 180억원의 부가가치유발 효과를 거둬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각종 규제로 어려운 경기북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도는 올해도 일본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해외 판촉전 등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중국, 동남아 등으로 수출 다변화를 추진하여 3천만불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는 막걸리 수출 확대를 위해 막걸리 제조시설 현대화 등 시설개선, 해외판촉전 등 마케팅 강화, 수출포장재·물류비 등 수출지원 확대 등 시설개선 3개 분야에 18여억을 지원하여 올해 수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김두식 농정과장은 “막걸리 산업은 쌀 소비 촉진(막걸리 6톤 생산시 → 쌀 1톤 소비) 및 가격안정에 기여하고 낙후된 북부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만큼” 앞으로도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지원 시책을 추진하고 막걸리 업계와 적극 연계하여 올해 수출 목표를 달성하고 향후 국내 막걸리 시장의 저변 확대와 지속적인 수출 확대를 통해 막걸리를 와인, 맥주 등과 같은 세계적인 명주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