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계없음. [미국 골프다이제스트 캡처] |
(아주경제 김경수 기자) 고정관념과 골프스코어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계량적으로 입증할만한 데이타는 없지만, 고정관념이 스코어 향상에 한계선을 그을 것이라는 짐작은 가능하다.
시즌을 앞두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자’고 다짐하는 골퍼들이 많을 것이다. 다음 중 해당되는 것이 있다면 다시한번 생각해볼 일이다.
▲클럽은 반드시 14개를 갖고 다닌다
잘 치지 못하는, 최근 잘 맞지 않는 롱아이언이나 우드를 꼭 번호대로 다 갖고 다니지는 않는가. ‘바든 그립’으로 유명한 해리 바든(1870∼1937)은 7개의 클럽만으로도 브리티시오픈에서 여섯 번이나 우승했다. 초보자들은 하프세트로도 충분하다. 클럽 갯수가 적으면 임기응변 능력을 키울 수 있고, 하프·스리쿼터 스윙 등 상상력을 동원한 샷 능력을 기르는 데도 도움이 된다.
▲한 라운드에 드라이버를 14회 쓴다
파4, 파5홀 티샷은 ‘무작정’ 드라이버로 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가장 치기 어려운 클럽을 14회 다 쓸 필요는 없다. 파에 비해 거리가 짧은 홀이나 몸이 풀리지 않은 첫 홀 등지에서는 다른 클럽으로 티샷하는 것을 고려해볼 만하다.
▲파5홀 세컨드샷은 반드시 우드로 한다
티업이 안된 볼을 우드로 치기란 쉽지 않다. 라이가 아주 좋을 경우가 아니라면, 어차피 그린에 올리지 못한다면, 아이언으로 세컨드샷을 하는 것이 파에 근접하는 길이다.
▲매홀 ‘레귤러 온’을 노린다
프로들도 18개홀 중 정규타수로 볼을 그린에 올리는 것은 11∼12개홀이다. 90타대 이상을 치는 골퍼들에게 레귤러 온은 ‘먼 목표’다. 홀까지 6번아이언 거리(약 150야드) 이하가 남았을 경우에만 곧바로 그린을 노리고, 그 이상이면 다음 샷을 하기 좋은 그린 근처에 볼을 갖다놓는다는 자세는 어떤가.
▲그린에서는 브레이크를 파악하는 데만 온 신경을 쓴다
그런 다음 정작 중요한 스피드는 대충 ‘감’에 의존한다. 순서가 거꾸로 됐다. ‘퍼트는 스피드(거리)를 먼저 결정한 뒤 그에 맞춰 브레이크(방향)를 감안하라’는 것이 정설이다.
▲매번 ‘내기’를 한다
내기를 걸지 않고 플레이하면 마음을 비울 수 있고,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샷을 할 수 있다. 골프에 이끌리지 않으며, 골프의 영역이 그만큼 넓어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