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경제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11일(현지시간)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내는 데 몰두하는 북한 젊은 여성들의 사진과 함께 북한에서 확산되고 있는 휴대전화 현황을 보도했다.
이 잡지는 그동안 북한 주민들이 밀수한 휴대전화를 이용해 국경 근처에서 중국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왔으나, 이제 평양의 공식 이동통신사인 고려링크의 사업이 날로 번창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집트 오라스콤이 지분의 75%를 갖고 있는 북한의 휴대전화 서비스는 18개월만에 가입자 수가 30만명에서 100만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주민들이 서로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는 것을 싫어하는 북한의 폐쇄적 사회에서 매우 놀라운 상황이라고 잡지는 전했다.
한 외교관은 “많은 고객들이 유로 지폐를 잔뜩 들고 고려링크 매장에 등장한다”고 말했다.
유로화로 지불하면 전화가 몰리지 않는 시간대에 무료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북한 당국은 외화를 거둬들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는 “휴대전화 고객들은 비공식적인 개인간 거래를 통해 외화를 구한다”면서 “이는 금지된 것이지만 북한 당국이 주민을 먹여살리는 데 실패하면서 이러한 자본주의 관행을 모르는 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의 많은 체제 내부자들도 이를 통해 이득을 보는데, 공무원 남편과 사업하는 아내가 북한에서 최고의 커플로 불린다고도 했다.
이어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국제전화를 쓸 수 없으며 인터넷 접속도 불가능하고, 전화와 문자메시지가 감시당하지 않는다고 상상하기도 힘들다”면서 "노동신문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뉴스를 전달함으로써 휴대전화를 정부의 선전물 전파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잡지는 “아직 북한의 휴대전화가 혁명의 도구는 아니지만 어찌 됐든 놀라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