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금융감독원에 부분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 등을 담은 ‘2012년도 경영계획서’를 제출했다. 이들 은행은 경영계획서를 통해 가계대출을 연간 24조5000억원 늘리겠다고 밝혔다.
은행권의 지난해 말 가계대출 잔액 453조6000억원의 5.4% 규모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 2008년 24조9000억원 이후 가장 많아진다. 연간 증가액은 2009년 20조9000억원, 2010년 22조원, 2011년 22조1000억원이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우리나라의 연간 경상성장률이 은행권 가계대출 상한선으로 제시된 점을 들어 내년 중 가계대출 잔액이 5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들은 올해 주택담보대출 보다 신용대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신용대출은 주택담보대출 보다 고금리를 적용해 경제가 어려워 질 경우 연체 위험이 높다. 주택담보대출은 322조6000억원으로 16조8000억원(5.5%) 증가하는 데 그친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은 2009년 10.2%, 2010년 7.7%, 2011년 7.5%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 같은 추세에 대해 “주택 경기가 풀리지 않자 주택구입용 대출 수요가 줄고 집값 하락으로 담보가치인정비율(LTV)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은 155조 5000억원으로 7조 7000억원(5.2%) 늘릴 방침이다. 지난 2007년 10.1%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올해 주택담보대출은 은행들이 늘리려는 가계대출 총액의 2배인 50조원가량의 만기가 돌아올 것으로 추정됐다.
은행들이 목표치로 설정한 가계대출에는 신규대출과 기존 대출 상환이 포함돼 한계차주(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대출자)를 중심으로 채무상환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지방은행은 은행권 가계대출 평균 증가율을 웃도는 8~9%의 목표치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도권에 비해 주택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지방에서 대출 수요가 늘어난 결과”라고 배경을 풀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