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5억원(3.4%) 줄어든 수치다. 이자 수익과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이 줄고, 대손비용이 늘어난 것이 실적 하락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BNK금융은 하반기 6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고 주당 120원의 분기 배당도 시행하기로 했다. 이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다.
은행 부문에서는 총 4102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지난해보다 455억원 줄어든 수치다. 부산은행은 2517억원으로 전년과 비슷했지만 경남은행은 1585억원으로 458억원 줄며 실적이 악화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62%로 전 분기보다 0.07%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연체율은 1.39%로 0.27%포인트 상승해 경기 둔화에 따른 부실 위험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자본 건전성을 나타내는 보통주자본비율은 12.56%로, 0.31%포인트 개선됐다. BNK금융은 위험가중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한 덕분이라며, 이를 통해 신용위험 대응과 주주환원 확대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권재중 BNK금융그룹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상반기에 매입한 약 396만 주의 자사주를 모두 소각했으며 하반기에도 6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추가로 실시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자본 비율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계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