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서 삼국지기행- 43 산시(陝西)성편> 2-2 제갈씨의 뿌리를 찾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22 06: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최미화 기자) 뛰어난 지략과 리더십을 보여주는 제갈량(諸葛亮)은 삼국연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 중 하나다. 때문에 그의 복성(復姓) 제갈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석문잔도풍경구를 나선 취재팀은 제갈량의 무덤으로 알려진 무후묘(武侯墓)를 찾았다.
“제갈씨의 기원을 놓고 학자마다 다양한 주장이 있지만 왕이 하사해 개성(改姓)했다는 설이 가장 힘을 얻고 있죠.” 무후묘에 도착하자 안내원이 제갈씨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들려주었다.

안내원에 따르면 제갈량의 조상은 본래 ‘갈(葛)’씨로 랑야주(琅<王+耶>諸)성에서 생활했으나 훗날 왕의 뜻에 따라 양두(陽都)성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당시 양두성에는 이미 갈씨 성을 가진 씨족이 살고 있었는데 뒤늦게 들어온 갈씨와 구분짓기 위해 제갈량 선조의 갈씨를 제갈씨로 바꾸게 되었다는 것이다. 때문에 제갈량은 ‘랑야제갈공명’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제갈량은 가랑야양두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 날 산둥(山東) 이난(沂南)현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이지만 지금 이 곳에는 제갈씨의 후손이 남아있지 않다.
이에 관해 일부 학자들은 “옛날 양두성에는 대규모 주민 이동이 있었다”며 집단 생활을 하는 씨족사회에서 제갈씨 전체가 이 일대를 떠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동한 말년에서 위진남북조시대에 대대적인 이주가 있었으며 당시 북방의 유목민족이 고(古)한양(漢陽)성으로 처들어오면서 제갈씨족은 전란을 피하기 위해 양두성을 떠났다는 설명이다.

비록 현재 이난현에는 제갈씨 및 제갈량의 후손이 남아있지 않지만 제갈씨의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으며 제갈량을 숭배하는 많은 사람들이 해마다 이 곳을 찾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