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2일 내놓은 `2011년 4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12월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역대 최고치인 91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 가계신용은 전분기보다 22조3000억원 늘었으며, 이는 3분기 증가액(16조2000억원)보다도 늘어난 것이다. 또한 2010년 4분기 27조8000억원 이후 1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가계신용은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카드사 및 할부금융사 외상판매)을 합한 수치다.
이 가운데 가계대출은 전분기보다 19조원 늘어난 858조1000억원, 판매신용은 3조2000억원 증가한 5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455조9000억원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6조2000억원 늘어나 전분기(5조4000억원)보다 확대됐다.
기타대출은 1조30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증가폭이 둔화됐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 또한 주택대출 및 기타대출이 모두 늘어나면서 전분기(5조4000억원)에 비해 7조9000억원 증가해 증가폭을 넓혔다.
이에 대해 한은 측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가운데 상호금융의 대출이 많이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상호금융의 수신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운용을 위해 대출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보험기관이나 연금기금, 여신전문기관 등 기타금융기관 대출은 215조4000억원의 잔액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중 기타금융기관 대출의 증가액은 보험사를 중심으로 전분기 2조3000억원보다 배 이상 늘어난 5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영향으로 은행권 대출이 힘들어지자 보험 약관대출 등으로 수요자가 몰린 결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가계대출 잔액은 414조2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5조4000억원, 비수도권은 228조5000억원으로 8조7000억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경남, 부산, 세종시 등에서 주택 관련 대출이 증가해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대출이 좀 더 많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밖에 지난해 연중 가계신용은 66조원 증가했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이번 가계신용 결과에 대해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와 은행예금 저금리 기조로 은행권 가계대출이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풍선효과에 따라 2금융권의 대출이 늘어나면서 결국 고금리에 의한 가계 부실화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실물경제 둔화로 가계 소득이 대출을 소화할 수 없을 경우 결국 자산 부실화로 우리경제에 심각한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