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BC은행은 최근 발표한 무역전망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대외무역이 2014년부터 가속도를 내면서 미국을 추월해 2016년에는 세계 최대 무역국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함께 홍콩이 여전히 중국의 중요한 무역허브 역할을 할 것이며 향후 6년 동안 무역 증가속도가 세계 평균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HSBC는 또 700개의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2%의 기업이 향후 5년 내에 브릭스(중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와 무역을 할 계획이며 이 가운데서도 브라질과 러시아에 가장 관심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브릭스 외에도 41.7%의 기업이 이집트,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과 무역 거래를 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HSBC중국공상금융서비스 허쉰화(何舜華) 사장은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됐지만 기초인프라와 가전ㆍ자동차 등 소비시장은 여전히 잠재력이 커 중국기업에게 기회”라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서 5년 내에 구미지역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중국기업이 55.4%에 달해 상당히 높았지만 전통 무역 분야보다는 첨단과학분야 등 새로운 시장을 찾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