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 지역엔 문재인 상임고문과 문성근 최고위원·김정길 전 장관 등 친노 인사가 대거 공천을 통과했으며, TK에선 김부겸 최고위원 등 구 민주계 인사와 지역내 경쟁력이 높은 후보들이 공천권을 따냈다.
◆ PK ‘친노’ 싹쓸이, TK ‘개인경쟁력’ 무게
부산지역 공천은 친노 인사들이 점령했다.
부산 지역 1차 공천의 12자리는 이른바 ‘빅3’로 불리는 문재인 상임고문(사상구)·문성근 최고위원(북강서을)·김정길 전 행자부 장관(부산진을)을 비롯해 김영춘 전 최고위원(부산진갑) 등 범 노무현계 인사들로 모두 채웠다.
이는 친노계 인사들이 여타 후보들에 비해 지역색이 옅고, 12·19 대선을 앞두고 PK에서‘노풍의 재림’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선 친노 인사들이 지역에 깔려 있어야 한다는 전략적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를 두고 "패권세력의 횡포"라는 비판 의견이 강하다. 공심위가 친노를 중심으로 짜여진 당 지도부를 염두해 편향적 공천을 벌였다는 것이다.
민주통합당 부산지역 비노계 예비후보로 구성된 ‘희망부산 젊은연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부산의 단 한 곳에서도 경선 기회를 주지 않았다”며 “권력에 가까이 있었던 사람들이 변방에서 묵묵히 전선을 지켜왔던 사람들을 무참히 짓밟은 결과”라고 비판했다.
TK는 ‘사지(死地)’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판단 아래 당 보단 개인 경쟁력에 방점을 찍었다.
대구는 수성구갑 출마를 선언한 김부겸 최고위원을 선봉장으로 임대윤 전 동구청장(동구갑) 등 9명이 후보 적합 판정을 받았고, 경북에서는 허대만 경북도당 위원장(포항남·울릉) 등 10명이 공천 관문을 통과했다.
◆ 18개 지역 공백… 통합진보당 위한 공석?
민주통합당은 영남에서 부산 6곳, 대구 2곳, 울산 3곳, 경북 5곳, 경남 2곳 등 총 18개 지역구를 비워뒀다.
부산 영도구와 경남 산청·함양·거창군에는 김비오 부산시당 대변인과 정막선 경남도당 여성고문이 단수로 신청했으나, 후보지명을 받지 못했다. 경북 고령·성주·칠곡군은 송우근 전 선린대 교수가 단수로 등록했으나 선택받지 못했다.
부산 수영구는 김성발 전 부산시당 지방자치위원장과 한서윤 부산광역시당 여성위원장이 복수로 신청했으나 후보를 내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당 안팎에선 통합진보당과의 선거연대를 염두한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공천심사위 백원우 간사는 “공천심사 과정에서 따져야할 항목이 산적해 야권연대까지 염두할 수 없다”며 “야권연대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조차 잘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