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에는 독일, 프랑스, 일본 등 각국 교통전문가들이 모여 ‘우리 삶의 공간을 변화시킬 미래교통기술’을 주제로 논의할 예정이다.
세미나는 초고속열차 기술 개발과 가능성을 점검하고, 건설·운영비가 저렴하고 연계·환승이 편한 맞춤형 도시교통시스템 구축을 위한 저심도 지하철도와 트램 등 다양한 시스템과 현장적용 사례가 소개된다.
이중 초고속열차의 경우 최근 중국이 시속 500km에 달하는 고속철도 차량을 제작한데 이어 우리나라도 430km/h급과 500km/h급 고속철도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세계 고속철도 시장 동향 및 현재 우리나라의 고속철도 기술개발 현황 ▲초고속철도 기술 개발 전략 ▲초고속화를 위한 공기저항 저감기술 ▲비접촉 무선급전기술 ▲독일 자기부상열차 기술 개발 사례가 발표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광역도시철도 정책방향 ▲맞춤형 녹색도시교통시스템 구축 방안 ▲저비용·저심도 철도 적용 사례 ▲GTX 도입 ▲고객 만족을 위한 서울지하철 9호선 혁신 사례 ▲일본 도쿄 수도권역의 차세대 철도 운용시스템 등이 발표된다.
마지막으로 철도연 서승일 박사는 ‘평창 동계올림픽과 함께 하는 녹색교통기술’을 주제로 올림픽 개최지 알펜시아의 근거리 대중교통망 구축방안과 최적 산악철도시스템을 소개할 예정이다.
홍순만 철도연 원장은 “전국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는 초고속열차와 도시의 재정 상태와 환경에 맞는 맞춤형 교통시스템 등 미래녹색교통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