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드러낸 모바일투표… 경선방법 변경 두고 민주통합‘패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28 18: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민주통합당이 선거혁명이라고 내걸었던 모바일 투표가 불법·편법은 물론 관련자 자살 등의 부작용을 드러내고 있다. 모바일 투표의 경우 선거인단 신분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워 불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그동안의 지적을 그대로 노출한 셈이다.
 
만약 선거인단 불법 모집 사례가 추가로 확인될 경우 모바일 투표가 원천 무효화 되는 등의 시나리오까지 가능해 민주통합당으로선 패닉에 빠질 수도 있다.

선거인단 모집 시한(29일)을 하루 앞둔 28일 민주통합당의 모바일 투표 불법 선거인단 모집 사례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광주 북을에서는 한 후보가 병원의 환자 기록을 갖고 선거인단 접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광주 동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명절 선물을 돌린 리스트를 선거인단 모집에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 김제·완주에서는 한 후보가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선거인단 등록을 하는 경우도 있었단 폭로가 제기됐고, 전남 장성에서는 한 후보가 사무실을 차려놓고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대리접수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선거인단 모집을 두고 전남 지역에서 불법·편법 행위가 다수 발생하는 것은 지역내 과열된 공천 경쟁과 선거인단 등록 절차의 복잡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가 된 지역 대부분이 현역 의원들이 강력한 경쟁자를 만나 ‘박빙’의 승부를 펼치고 있는 곳이어서 호남 지역 물갈이 여론에 대한 현역 의원들의 불안감이 커졌다는 것이 현지 여론이다. ‘공천 = 당선’인 호남 지역 현역의원들이 다수의 강력한 경쟁자와 맞서야 해 선거인단을 무리하게 불리려다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또 선거인단 등록이 휴대전화 인증을 통한 본인 인증, 신용정보회사 주소 확인 등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상당수가 노년층인 호남 지역 유권자의 특성상 편의 제공 차원에서 대리접수가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을 것이란 설명이다.

이에 따라 민주통합당 호남지역당에선 공천 및 경선 방법을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중앙당에서는 경선 방식을 바꿀 수는 없다는 입장을 확고히 하고 있는 상황이라 당내 마찰 발생도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