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부국장은 “중국 국제수지의 불균형현상이 개선되어 위안화 절상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 이라고 덧붙이며 “무역흑자와 FDI는 중국의 국제수지 흑자를 지탱하는 양대 기둥”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현재 중국이 경제 성장둔화와 인플레이션이라는 두 난제에 직면한 가운데 대외 무역상황 악화, 기업들의 경영 부진, 일부 지역의 부동산 거품, 지방채 상환 등이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지만 별다른 추가 악재가 없으면 향후 외국자본 유입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상품 무역 흑자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베이징대 증권연구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