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김여정 담화'에 美, 연일 대화 가능성 언급…북미대화 꿈틀

  • 美국무부 "트럼프, 누구와도 대화할 의지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자국과 대화의 여지를 열어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담화에 ‘누구와도 대화 가능’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백악관 당국자 발언에 이어 미국이 연달아 대북 대화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면서 북·미 정상 간 만남까지 이뤄질지 주목된다.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취재진이 김 부부장 담화 관련 내용을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평화와 번영, 정상적인 삶을 제공하기 위해 누구와도 대화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며 “(트럼프) 1기 당시 봤던 것과 같다”고 밝혔다.
 
앞서 김 부부장은 전날 담화에서 “조·미(북·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 실현 목적과 한 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상대방에 대한 우롱으로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한 미국과 협상은 하지 않겠다는 그간의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미국을 겨냥해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고 했다. 이런 발언은 미국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면 북·미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됐다. 그동안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수령을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무시에 가까운 대응이 이어진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브루스 대변인은 다만 현재 북·미 상황 등에 관해서는 “대통령과 타국 (정상) 간 관계에 관한 문제는 백악관에 문의하는 게 좋을 것”이라며 추가 언급은 자제했다. 앞서 백악관 당국자는 28일 김 부부장 담화가 나온 직후 로이터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시절 싱가포르와 베트남 하노이,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과 만났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회담에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체제 구축,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등을 담은 공동 성명이 채택됐다. 하지만 이듬해 2차 하노이 정상회담은 ‘노딜’로 귀결되며 가시적인 성과는 이끌어내지 못했다. 판문점에서도 추가 진전은 없었다.
 
국제 핵 비확산을 매우 중요시하는 미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치를 낮추기 힘들다는 점에서 현재로서는 미·북 대화가 당장 성사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여러 차례 김 위원장과 만날 생각이 있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북한과 정상외교 의지가 강하다는 게 변수가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식 당일 “김 위원장은 핵 능력이 있다”며 “우리는 잘 지냈다”고 언급했고, 4월에도 북한을 ‘거대한 핵 능력 보유국’이라고 지칭하며 “(김 위원장과) 소통이 있다. 그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