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손보사 관계자는 최근 외제차 수리비 인하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보험료를 추가 인하하지 않는 이유를 묻자 이같이 말했다.
국내 주요 손보사들은 독일계 자동차회사인 메르세데스 벤츠, BMW, 아우디와 부품 가격 및 공임(工賃) 인하에 합의했거나 협상을 진행 중이다.
손보업계 1위사인 삼성화재의 경우 가장 앞선 지난해 7월 벤츠의 한국법인인 벤츠코리아가 제시한 부품 가격 인하율 19%에 합의했다. 같은 달 아우디(10%), 9월 BMW(5%)의 부품 가격도 낮췄다.
그러나 손보사들은 손해율을 낮춰 적자폭을 줄이는 데만 혈안이 됐을 뿐 수리비 절감분을 소비자들에게 돌려주는 데는 관심이 없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오는 4월 신규 가입자부터 일괄 적용키로 한 자동차보험료 인하율에 이미 부품 가격 인하분 일부가 포함돼 있다"며 "부품 가격 인하효과를 가늠하려면 적어도 1년 이상 손해율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소비자들은 앞선 2월 자동차보험료 인하 결정 당시처럼 금융당국의 입만 쳐다봐야 할 형편이다.
금융당국은 손보사들이 정부의 제도개선에 따라 구조적으로 손익문제를 개선한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또 이런 경영여건 개선이 금융소비자를 위한 보험료 인하로 연결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한 관계자는 "조만간 업계 자율적으로 이런 노력이 가시화되기를 기대했다"며 손보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금융당국 최고위 관계자가 손보사들의 보험료 인하 상황에 문제를 제기하자 손보사들의 하루 만에 경차와 소형차 중심의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2.2~2.4% 인하하는 방안을 기정사실화하는 등 신속하게 호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수많은 소비자들은 당국이 '어흥' 하니까 '깨갱' 하고 꼬리를 내리는 손보사들의 이중적 태도에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자진해서 적절한 보험료를 유지할 수는 없는 것일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