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선거운동? 결국 조직싸움"..보좌관 고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12 08: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0명 이면 모바일 1000표 어렵지 않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대면이냐 비대면이냐의 차이지, 유세활동에 달라진 점은 없어요. 결국은 조직싸움입니다.” 모바일·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선거운동에 대해 한 현역 의원 보좌관은 이 같이 평가했다.

 4·11 총선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선거가 결국엔 조직력에 좌지우지 되는 모습이다. 모바일 등 뉴미디어의 선거 영향력이 커진 것은 사실이나, 이 역시 조직력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설명이다.

 11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모바일·SNS에 대한 후보자들의 접근 방식이 달라지고 있다. 이전엔 SNS를 본인의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활용했으나, 모바일 경선 등이 도입되면서 결국엔 모바일을 선거운동 및 조직 구축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총선 등 지역선거에선 경선의 유권자 수가 적어 모바일 투표가 대표성을 갖기 어려운 데다 실제로 투표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 적은 득표로도 경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

 때문에 "모바일을 통해 후보의 경쟁력을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들로부터 선택받는다"란 당초 취지에서 벗어나 보좌진과 후원세력의 발로 뛴 표, 이른바 조직표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현장의 전언이다.

 실제 지난 10일 민주통합당이 발표한 총선 후보 선출을 위한 2차 당내경선 결과에 따르면 총 17개 지역구 35명 후보에 대한 경선에서 모든 후보들이 받은 모바일 득표 수는 3만9924표였다. 얼핏 보면 많은 수 같지만 후보 1명당 1141표 밖에 받지 못한 셈이다. 득표수 별 최다 득표자는 제주시을의 오영훈(2958표) 후보였고, 최소 득표자는 충남 부여청양군의 정용환(199표) 후보였다.
 
 물론 이 같은 모바일 득표 결과가 현장 투표(1인당 득표수 405표)에 비해선 2배 이상 많다. 하지만 1만표 이하로는 지역민심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한 의원실 보좌관은 "30명 가량이 특정 후보에 대한 모바일 투표를 조직적으로 펼쳐준다면 모바일 표 1000표는 어렵지 않게 얻을 수 있다"며 "결국 모바일을 통한 후보 선출도 보좌진·후원세력의 정치력과 세력·조직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