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공직후보자추천위의 ‘25% 컷오프’에 포함돼, 낙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김 의원은 이날 탈당을 선언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당에 잔류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사실상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며칠간 제 인생 최고의 고민을 했다”며 “깊은 고민 끝에 내린 판단은 우파 정권 재창출이 돼야 하고 이를 거스르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의 일부 잘못된 방향설정과 공천심사 기준으로 인해 야기된 많은 동료 의원들의 호소를 지켜보며 당이 분열되는 모습에 분노에 찬 안타까움을 느꼈다”며 “대안세력을 결집해 신당을 창당해 뒤집어 엎자는 유혹도 강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당 잔류 결정 배경에 대해 “정치 지망생일 때 이당 저당 옮기는 못난 선배들을 비판했고, 정치에 입문하면서 나는 어떤 일이 있어도 당을 바꾸지 않겠다는 굳은 맹세를 했다”며 “제가 우파분열의 핵이되는 것은 옳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악법도 법이라는 말을 생각하며 마음을 다스렸다”며 “당과 동지를 떠나며 국회의원 한 번 더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생각했다. 정도로 가야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당의 비대위와 공천위에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낙천한 의원들의 재심청구를 받아들을 것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공천위가)다으이 미래를 위해 노력했겠지만 이상과 현실의 괴리속에서 일부 잘못된 점이 보여진다”며 “이유있는 재심청구를 심각하게 고려해 억울하고 불합리한 부분이 있다면 꼭 바로잡아 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그것이 새누리당이 살아남는 길”이라며 “지난 16년 동안 성원을 보내주신 주민들께 죄송하다. 하지만 더 큰 정치로 반드시 보답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새누리당의 대선 후보가 될 경우에도 이를 돕겠다는 뜻인가’라는 질문에 ”어떤한 경우가 돼도 당을 떠나지 않겠다“고 당의 잔류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다만 공천위의 공천 심사 결과에 대해서는 ”여론조사 결과 지역 주민들의 지지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후보를 공천한 것은 옳지 못하고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며 ”이는 ‘오만의 극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