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안전연구원은 13일 "카제인은 미국 식약청인 FDA가 안전을 인정한 물질이며 유럽과 호주·뉴질랜드 등에서도 독성 평가 자료나 위해 자료가 없다"고 발표했다. 카제인나트륨은 지난해 남양유업이 커피믹스 제품 광고에 '화학적 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을 뺐다'는 문구를 넣으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었다.
연구원은 "카제인은 일일 섭취 허용량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안전한 원료"라며 "미국 FDA에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 목록인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지정되어 있고, 유럽과 호주·뉴질랜드 등에도 독성 평가자료나 위해 자료가 없는 매우 안전한 식품 원료"라고 밝혔다.
또 "우유에 함유된 단백질은 아미노산 균형, 높은 소화 흡수율 등 영양학적 가치뿐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는 펩타이드 공급원으로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되는 등 산업적 가치도 높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연구원 측은 "천연상태의 우유 가운데 대표 성분인 카제인·카제인 나트륨을 사용한 커피크림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은 소비자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우려를 이용한 마케팅의 일종"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안전성이 전 세계적으로 입증된 것이므로 단순히 '식품이냐 식품첨가물이냐'는 분류상의 논쟁으로 소비자에게 왜곡된 인식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카제인은 우유에서 얻어지는 우유 단백질의 하나로 전체 성분 중 약 80%를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20%는 유청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우유 중의 카제인 단백질 성분만을 분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우유에 젖산균 발효 또는 산을 넣어서 산성도를 높여 카제인을 분리하여 건조 후 사용한다.
카제인은 통상 유화제·영양강화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치즈·커피크리머·분유 등의 원료로 쓰인다.
커피믹스에 첨가된 카제인은 식물성 야자유가 주성분인 식물성 크림의 풍미를 더하고 단백질 공급원 역할을 한다. 또 물과 식물성 유지를 오랫 동안 안정적으로 잘 섞이도록 도와주는 유화제 역할을 한다.
한편, 카제인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만 식품첨가물로 분류되어 있고 영국을 포함한 유럽·호주·뉴질랜드·미국 등에서는 일반식품으로 구분되어 있다.
식품첨가물로 분류한 국내에서도 사용량·대상식품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원료 중 하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