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징바오(新京報) 15일 보도에 따르면 현재 베이징에 소비자 보호의 날을 지칭하는‘315’와 관련된 불법 웹사이트들이 수 백 개가 넘으며 이들은 2월 중순부터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평소보다 두 배가 넘는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에서 불법 315 사이트를 운영하는 린(林)씨는 “3월15일이 돈벌이 수단”이라며 “이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집까지 샀다”고 말했다.
이들이 돈을 벌어들이는 방법은 간단하다. QQ 메신저를 통해 모 기업에 대한 소비자 신고가 들어오면 해당 기업에 전화해 “소비자 신고 사항을 웹사이트에 올려놨으니 확인하라”고 말한 뒤 전화를 끊는다.
이 전화를 받은 기업은 관련 문제가 온라인을 통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 백~수 천 위안의 거금을 이들 사이트 계좌에 입금한 뒤 해당 신고 사항을 웹사이트에서 삭제하는 것이다.
린 씨는 “하루에 많을 때는 30~40개씩 신고 사항을 삭제한다”며 “이를 통해 하루에 수 만 위안씩 벌어들인다”고 말했다.
현재 베이징에만 이러한 불법 소비자 신고 사이트가 수 백 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검색 사이트에서 315로 시작되는 신고 사이트만 www.315se.com, www.315mh.com, www.315ren.com 등 수 백여개에 달한다.
이러한 불법 신고 사이트 때문에 소비자의 날만 되면 기업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 기업 홍보팀 관계자는 “소비자의 날만 되면 이러한 신고 사이트에서 관련 신고사항이 웹사이트에 떴는데 삭제할 것이냐를 물어보는 전화가 하루에도 7~8건씩 들어온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하지만 특히 ‘스스로 떳떳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소비자의 날만 다가오면 기업들의 일거수 일투족에 언론매체의 이목이 집중되기 때문에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