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골프다이제스트 캡처] |
(아주경제 김경수 기자) 비가 오거나, 페어웨이가 축축한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다 보면 볼에 흙이나 잔디가 묻곤 한다. 이 때 흙이나 잔디를 떼어낸 후 플레이를 하고싶은 것은 인지상정.
그러나 볼에 달라붙어 있는 것은 ‘루스 임페디먼트’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당한 절차에 의해 집어올리거나 그린에서 마크한 후 집어올린 경우를 제외하고는 볼에 달라붙어 있는 흙이나 잔디를 떼낼 수없는 것. 떼내려다가 볼을 움직이면 1벌타가 가해진다.
아마추어들의 친선라운드에서는 “흙 좀 닦고 칠게”라는 말이 통용될 수 있지만, 공식대회에서는 그대로 쳐야 한다. 그래서 프로들은 그럴 경우 흙이 볼 왼쪽에 묻어 있는지, 오른쪽에 묻어 있는지에 따라 볼이 어느 방향으로 굽어질 것인가를 예상하고 볼을 친다.
단, 공식대회라도 코스 컨디션이 아주 좋지 않을 경우 경기위원회에서 ‘볼을 집어올려 닦은 뒤 놓고 치는’(lift, clean & place) 로컬룰을 정할 수있다. 가끔 대회에서 선수들이 페어웨이에 떨어진 볼을 무단히 집어올려 닦은 뒤 살짝 놓고 치는 것은 그런 로컬룰 때문이다.
이 로컬룰이 적용된 날 나온 스코어는 공식적인 기록으로 집계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볼과 라이가 깨끗한 상태에서 치므로 로컬룰이 없는 날보다 스코어가 좋아질 수 있는 까닭이다.
사례를 보자. 한 골퍼가 마지막 홀에 다다랐다. 그 홀에서 버디를 잡으면 생애 처음 79타를 칠 판이었다.
어프로치샷은 짧았다. 볼은 비로 물렁해진 지면을 굴러가다가 그린 조금 못미친 프린지에 멈췄다. 그 골퍼는 퍼터로 처리할 생각이었는데 볼에 묻어 있는 흙이 눈에 거슬렸다. 그 흙때문에 볼이 제대로 굴러갈 것같지 않았던 것.
그는 볼을 집어들어 묻어 있는 흙을 닦은 뒤 놓고 퍼터로 쳤는데 볼은 홀속으로 사라졌다. 그는 버디를 잡았다고 좋아했으나 동반자는 ‘버디가 아니라 파’라고 주장했다.
누가 맞는 것일까. 동반자가 맞다. 그린 밖에서 인플레이 볼을 집어들었으므로 1벌타가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날 그의 스코어도 80타가 된다.
스루 더 그린에서 인플레이볼을 집어들 때에는 다시한번 생각한 후 행동에 옮겨야 한다. <골프규칙 18-2a>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