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인 ‘6·27’ 대책 발표 이후 5주째 서울 아파트값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다. 고강도 대출 규제로 아파트 매수 심리가 꺾이며 주요 지역에서 거래 감소와 가격 조정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넷째 주(7월2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올라 전주(0.16%) 대비 상승폭이 0.04%포인트(p)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세는 6·27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이후 5주째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이슈 단지 등에 대한 상승 거래가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면서도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관망심리가 지속되는 등 전반적인 수요가 위축되면서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송파구(0.43%→0.41%), 서초구(0.28%→0.21%), 강남구(0.14%→0.11%) 등 강남 3구 모두 오름폭이 줄었다. 강남3구와 인접한 강동구도 0.11%에서 0.07%로 상승세 둔화가 이어졌다.
마포구는 0.11% 오르며 전주와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했고, 용산구(0.24%→0.17%), 성동구(0.37%→0.22%)를 비롯해 한강 이남 양천구(0.27%→0.17%), 영등포구(0.22%→0.13%), 동작구(0.21%→0.11%) 등도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오름폭이 확대된 서울 자치구는 도봉구(0.02%→0.04%) 1곳 뿐이다.

경기도는 과천이 0.29% 올라 직전 주(0.38%) 대비 상승률이 0.09% 축소됐고, 성남시 분당구 역시 0.35%에서 0.25%로 오름폭이 줄었다. 경기도 광명시는 0.16% 올라 전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 전체로는 직전 주 0.06%에서 0.04%로 상승률이 소폭 하락했다. 지방(-0.02%)은 전주(-0.03%) 대비 하락폭이 커지며 61주째 내림세를 유지했다. 5대 광역시와 8개 도는 각각 0.04%와 0.02% 하락했고, 직전 주 보합을 기록했던 세종시는 0.04%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올라 직전 주(0.01%)와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0.06%)은 역세권, 대단지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매물부족 현상을 보이며 전주와 동일한 상승 폭을 유지했다. 수도권 전체 전세가격은 전주(0.02%) 대비 상승률이 0.01%로 소폭 낮아졌고 지방은 보합을 유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