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아침 긴급 외교·안보장관 회의를 소집해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계획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이렇게 결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4면>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의 소위 실용위성 발사계획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핵무기 장거리 미사일 운반수단을 개발하는 중대한 도발적 행위로 간주했다"며 "다음주 개최되는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미·일· 중· 러·EU 등 관련국 정상들과 긴밀히 협의해 국제사회와 함께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 16일 북한이 관련 계획을 발표한 이후 사흘 만에 나온 이 대통령의 첫 공식 반응이다. 이를 두고 사안의 무게에 비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그동안 국내외에서 수집된 정보 등을 토대로 북한의 의도를 파악해 왔다"고 밝혔다. 그만큼 신중을 기했다는 얘기다.
이 같은 정부의 대응기조는 무엇보다도 한반도 주변 4강을 포함해 전 세계 50여개국 정상이 모이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를 일주일 앞두고 영향을 미치려는 북한의 의도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미사일 문제가 이번 핵안보정상회의의 정식 의제는 아니지만 북한이 광명성 3호 발사를 통해 미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협상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려 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미국·일본뿐만 아니라 북한의 우방인 러시아·중국 등과도 긴밀히 협력해 대응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이날 이 대통령은 제86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리는 3월 26일은 천안함 피격 2주기이기도 하다"며 "천안함 45용사와 고 한주호 준위의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더 굳건한 안보의식으로 내 나라와 내 가족을 지켜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