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한동욱 건국대 교수(사진) 연구팀이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한 ‘유도신경줄기세포’를 개발하고,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체내의 모든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는 치매 등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이 있다.
그러나 면역거부반응과 난자를 이용해야 하는 윤리적인 문제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환자로부터 얻은 체세포를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상태로 유도하는 연구(체세포 역분화)가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역분화과정을 거쳐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들지 않고, 직접적인 세포치료를 위한 체세포로의 직접전환(리프로그래밍)을 유도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 교수팀이 개발한 유도신경줄기세포는 시험관에서 1년 이상 장기 배양이 가능해 자기재생능력이 증명됐다.
분자생물학적 측면에서도 뇌 조직으로부터 나온 신경줄기세포와 일치했다.
또 생쥐의 뇌 조직에 주입한 결과 어떠한 종양도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신경세포로 분화돼 정상적인 분화능력을 확인했다.
분화 및 자기재생 능력을 겸비한 성체줄기세포 중에서도 신경줄기세포로의 직접 리프로그래밍 기술개발은 줄기세포 분야 블루칩으로 각광 받는 기술이다.
한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체세포를 성체줄기세포로 직접 역분화를 유도한 첫 번째 사례로서, 기존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의 가장 큰 문제점인 종양 형성의 문제점을 극복한 획기적인 방법" 이라며 "앞으로 유도신경줄기세포를 통해 치매 등 뇌질환과 척수손상 등의 치료에 핵심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가 공동 주도한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전문지 ‘셀(Cell)’의 자매지인 '세포줄기세포지(Cell Stem Cell)' 주요 논문으로 22일 온라인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