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아파트값, 올 들어서만 2% 가까이 떨어졌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03 13: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분기 재건축 밀집 강남권 매매시장 약세 두드러져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서울 송파구 아파트값이 올해 1분기 2% 가까이 떨어지며 전국에서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가락시영·주공5단지 등 재건축 아파트가 하락세를 주도했다.

송파구를 비롯한 서울 및 수도권 매매시장도 재건축 시장 불안정이 일반 아파트에도 영향을 미치며 약세를 이어갔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국 아파트값은 0.36% 떨어졌다. 수도권은 서울(-0.87%)과 경기(-0.18%)·신도시(-0.36%)·인천(-0.13%) 모두 약세를 보이며 0.54% 내렸다.

서울은 25개 자치구 중 23개구의 매매가가 떨어졌다. 특히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전략과 재건축 소형 비율 강화 조치 등으로 재개발·재건축 사업성이 악화되면서 재건축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권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이중 송파구 아파트값은 1.96% 떨어졌다. 수도권이 같은 기간 0.54% 내린 것과 비교하면 낙폭이 3.6배에 달한다. 이어 강남(-1.53%)·서초구(-1.00%)·과천시(-0.97%)·강동구(-0.96%) 등 순으로 약세를 보였다.

반면 평택(0.51%)·안성(0.37%)·오산시(0.25%) 등은 산업단지 근로자 유입과 60%대에 육박하는 높은 전세가 비율로 매매전환수요가 늘어나며 매매가가 올랐다.

지난해 가격이 크게 올랐던 지방에서는 신규 분양이 늘어나며 1분기 소폭 상승에 그쳤다. 울산이 0.26% 오른 것을 비롯해 대구(0.21%)·부산(0.19%)·충남(0.17%) 등 순으로 오름폭을 나타냈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1분기 0.23%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0.89%)보다는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은 지난해 4분기 전셋값이 무려 1.33% 올랐지만 올 1분기 보합(0%)을 나타냈다. 수도권도 같은 기간 0.95%에서 0.74%로 주춤했다.

서울 강남구는 학군수요 감소 영향으로 1분기 들어 전셋값이 1.60%나 하락하며 수도권 중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이어 송파(-0.84%)·도봉구(-0.31%)·구리시(-0.17%)·평촌신도시(-0.15%) 등 전세가도 소폭 내렸다.

수도권에서 전세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인천 연수구로, 1분기 3.01%나 올랐다.

이밖에 파주운정(2.73%)·김포한강(1.45%)·판교(1.27%) 등 2기 신도시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서울에서는 노원(0.19%)·강북(0.22%)·성동(0.33%)·마포구(0.63%)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지방(0.32%)도 전세 수요가 마무리되면서 전세 물건에 여유가 생겨 하향 조정되는 분위기다. 전남이 2.17%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이어 대구(0.67%)·충북(0.56%)·부산(0.45%)·충남(0.32%) 등 순이었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송파구를 비롯한 강남권 지역의 재건축 및 일반 아파트의 매매가가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다”며 “특별한 호재가 없는 한 2분기에도 가격 하락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