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 동물성단백질, 과연 필요한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03 14: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장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장
최근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날로 증가되면서 음식과 관련된 프로가 많아지고 있다.

음식 전문 채널에서부터 맛있는 음식을 찾아다니는 프로까지, 특히나 주말 오전 음식 관련 프로를 보며 입안에 고인 침을 꿀꺽 삼키고 있는 내 모습에 혼자 웃음이 나기도 한다.

예전 어른들은 남이 먹는 거 쳐다보는 것이 가장 추접스럽다 했는데 맛있게 먹고 있는 출연자들을 보면 채널이 쉽게 돌아가지 않는다. 그만큼 먹을 것에 대한 사람의 욕구가 큰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기를 먹을 때의 즐거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노릇노릇하게 구어진 고기를 입 안에서 꼭꼭 씹을 때면 이 세상 무엇도 부럽지 않다.

하지만 일부에선 입을 즐겁게 하는 고기가 우리 몸을 해친다고 한다. 넣는 순간 입을 즐겁게 하는 것보단 칠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올바른 정보가 아니다.

우리의 몸은 70%의 수분과 20%의 단백질, 그리고 무기질, 지방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 수분을 빼고 나면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은 단백질이다. 단백질은 근육은 물론이고, 머리카락, 손톱, 뼈나 호르몬 등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모여 이루어진 결정체로 우리의 몸은 20가지 종류의 아미노산을 필요로 한다. 20종류의 아미노산 중 일부는 체내에서 합성이 되고 일부는 합성이 불가능하다.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10가지의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하며 이것은 음식을 통해서 반드시 섭취해야만 한다.

그런데 우리 몸에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섭취해야만 하는 필수 아미노산들이 바로 동물성 단백질에 많이 들어있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우유, 달걀 등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채식주의자들이 채식만으로도 어린이나 청소년의 성장에 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식물성 단백질 섭취만으로는 필수아미노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성장이 지연될 수 있으며 면역력 부종, 빈혈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독일, 호주 등 축산선진국 비해 상대적으로 육류섭취가 많이 부족하다. 과거에 비해 많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고기를 많이 먹어 문제가 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실제 2010년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38.8kg으로 미국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육류 소비로 인해 성인병 증가 운운하는 일부 인사의 이야기는 육류소비량이 우리나라에 비해 2, 3배에 달하는 나라의 이야기를 너무 쉽게 옮기는 듯하다.

최근 일부 채식주의자들은 사람의 성격이 먹을거리에 따라 좌우된다며 채식으로 우울증, 조울증 등의 치료가 가능하며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돼 학습능력도 좋아진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되는 세라토닌이라는 물질은 식물성 식품보다는 동물성 식품을 섭취해야 인체 내 많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요즘 자라나는 신세대를 보면 과거 40년 전 우리 세대에 비해 확실히 체격이 커지고 키가 컸다. 그 이유는 바로 과거에 비해 잘 먹기 때문이다. 그것도 곡류 위주가 아닌 고기 위주로 고단백 식사를 하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성장기에 영양가 풍부한 식품위주로 섭취를 해 주면 키는 쑥쑥, 뼈는 단단해진다. 식물에 적당한 햇빛과 물을 주면 무럭무럭 자라듯이 사람도 영양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있는 동물성 단백질은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