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패배의 책임을 두고 친노(친 노무현)계를 향한 화살이 빗발치는 가운데 다음달 4일 열릴 원내대표 경선과 6월9일로 예정된 전국대의원대회(전당대회)를 앞두고 계파 간 이합집산과 견제가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통합당은 지난 15일 새지도부 구성과 관련해 문성근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하는데 합의하고, 약 보름간은 문 권한대행에 당무를 맡긴 뒤 원내대표과 전당대회를 잇따라 열어 19대 국회 첫 지도부를 선출키로 합의했다.
민주통합당은 일단 권한대행 체제냐, 비대위 체제냐를 둘러싼 갈등은 일단락했으나, 새 지도부가 12·19 대선까지 당권 쥔다는 점에서 계파별로 상호비방과 치열한 수싸움임 전개될 조짐이다.
당내에선 벌써부터 친노계를 향한 여타 계파의 공격이 시작된 모습이다. 지도부 구성 논의가 일단락 됐음에도 이날 구(舊) 민주계의 좌장인 박지원 최고위원과 친정세균계인 최재성 의원이 지도부 총사퇴를 주장한 것이다. 이는 19대 총선 이후 최대 계파로 떠오른 친노와 친노의 좌장이자 당내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인 문재인 상임고문을 견제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갈등은 손학규계와 정동영계·시민사회노동출신 등으로 당내 분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계파별로 전당대회까지 당을 이끌 원내대표 후보로 누굴 내세울 지 고민하는 모습이다. 이번에 선출되는 원내대표는 6월 당대표 경선을 관리해야 하며, 6월 선출되는 당대표는 6~8월에 있을 대권 후보 경선을 관리한다는 점에서 원내대표 경선이 사실상 대선후보 경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현재 친노계에선 원내대표로 후보로 뚜렷하게 드러나는 인물이 없는 가운데, 박기춘·박병석·유인태·전병헌·조경태·이낙연·노영민·김동철·우윤근 등 무계파 인사나 구 민주계, 손학규계, 정동영계 인사들이 주로 거론되고 있다.
당 대표 후보론 친노계에선 이해찬 전 총리와 문희상·김한길 의원 등의 이름이 거론되며, 486 진영에선 우상호 의원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