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에서는 기온이 상승하는 봄철을 맞아 각급학교에서 식중독 예방 등 학교급식 위생ㆍ안전관리에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조리ㆍ배식과정 등 급식 전반에 대한 위생ㆍ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식중독 발생률이 높은 고등학교 급식 집중관리, 식중독 의심 시 신속보고 및 대응철저, 수련회 및 수학여행 시 급식소 사전 위생실태 확인 의무화, 학부모들의 임의 간식제공 금지 등을 강조했다.
이 밖에도 식품알레르기 민감 학생들도 안심하고 급식을 먹을 수 있도록 금년 2학기부터는 모든 학교가 식단표에 알레르기 유발식품 사용여부를 표시토록 하는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가 도입된다.
뿐만아니라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원인인 짠음식 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학교급식 나트륨 사용량 저감화’를 추진하여 2017년까지 한끼당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을 20% 줄이기로 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식중독 발생률이 높은 4~6월중 급식현장을 불시방문 특별점검을 실시하여 위생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또한 안전하고 신선한 식재료가 학교급식에 납품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 합동점검을 강화하여 검수 전 유통단계에서의 안전한 식재료 관리로 ‘식중독 제로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ㆍ지도할 것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