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오는 23일부터 ‘철도운송산업 경쟁도입 정책’의 또 다른 이름을 공모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이 정책은 KTX요금을 인하하는 등 국민과 국익을 위한 정책인데도 ‘민영화’, ‘특혜’, ‘요금폭탄’ 등으로 왜곡됐다고 국토부는 주장했다.
이에 철도 경쟁도입 정책의 취지를 바로 알리고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참신한 이름을 찾기 위해 이번 공모를 하게 됐다.
철도운송사업 경쟁체제 도입 새 이름(네이밍) 공모는 응모기간이 23일부터 다음달 11일까지이며, ‘KTX 경쟁체제 도입’의 의미와 효과를 잘 반영하고, 참신성·창의성 있는 표현, 부르기 편하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선발하게 된다.
응모자 중 1등에게는 500만원을 수여하는 등 총 상금 2000만원과 여수엑스포 입장권 100매를 증정할 계획이다.
새 이름 공모방법의 전문은 Daum 블로그 ‘철도운영 경쟁체제 도입(blog. daum. net/railroad 777)’ 공지사항에 게재되며, 26일부터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민공모를 통해 선정된 새 이름을 가지고 좀 더 많은 설명과 이해를 구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서발 저비용 KTX 운송사업이란 오는 2015년 개통예정인 수서발 KTX(수서~부산·목포) 노선을 15년간 선로임대방식으로 민간에 운영을 맡기는 사업이다.
신규 사업자는 공개경쟁을 통해 선정하게 되며 대기업의 지분은 49%로 제한된다. 철도운임은 현 코레일 대비 초기년도에 15%를 인하하고, 이후 물가상승률보다 0.5% 낮게 하여 평균적으로 20% 수준으로 낮추도록 했다. 국토부는 운임인하로 연간 2000억원, 15년간 3조원의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