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출범 이후 이지송 LH 사장의 개혁 노력 아래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하며 약 2년반만에 경영 정상화 길목에 들어선 것이다.
LH는 올 1분기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토지·주택판매 및 채권 발행 등을 통해 14조4492억원을 조달하고 사업투자나 부채 감축에 13조6889억원을 지출해 7603억원의 자금수지 흑자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토지·주택 판매대금 회수액은 약 3조56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2조6500억원) 대비 약 34%, 외부자금 조달은 약 6조2000억원으로 253% 각각 증가했다.
또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5100억원으로 공기업 중 최고 수준을 달성했으며, 매출은 공기업 세 번째인 15조259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 늘었다.
20조원씩 늘어나던 LH의 금융부채는 2010년 17조원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6조원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 부채비율도 통합 당시 525%에서 지난해 468%, 금융부채비율은 360%에서 350%로 각각 줄었다. 특히 올해 1월 30일에는 하루에 1조7000억원의 빚을 상환하는 등 3개월 동안 약 7조원의 부채를 갚아냈다.
LH가 조달한 외부 자금 중 4조3000억원은 자금조달용 채권발행을 통해 이뤄졌다. 이는 전년 동기 1조3500억원의 3배에 달하는 실적이다. 약 1조20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증권(ABS)도 발행했다.
채권발행이 순조로은 이유는 지난해말 LH말 금융부채 35% 가량인 34조원 규모 국민주택기금 융자금을 후순위로 전환하는 LH법을 계기로 채권 투자자들이 적극적인 자세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토지·주택판매 및 대금회수가 급증으로 매출·순이익이 크게 늘어나 지난해 경영실적이 크게 향상된 점도 한몫했다.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실적 호전으로 LH는 적극적인 공적역할 확대에 나섰다. 주택 착공은 지난해 6만3000가구에서 올해 7만1000가구, 신규공급은 6만7000가구에서 8만가구로 계획했다.
또 공사발주 규모를 지난해 11조9000억원에서 14조원으로 늘리고 사업비를 상반기 최대한 조기집행하기로 했다. 올해 실버사원 2000명 채용한 데 이어 대졸 사원 300명, 고졸사원 200명, 인턴 500명 등 총 300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LH는 총 자산 130조원으로 2009년 출범 당시만 해도 109조원에 달하는 부채로 거대 ‘부실 공룡’이 탄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샀었다. 금융부채비율은 75조원으로 자본금(21조원) 대비 금융부채비율이 361%에 달했다.
하지만 이지송 사장 부임 후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하고 노사공동으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며 경영정상화 기반을 다지기 시작했다. 올해 들어서는 매주 평균 1조원 규모의 대규모 자금이 선순환하는 경영구조를 마련했다.
이지송 사장은 “50년 가까이 직장생활을 하며 나라와 국민들로부터 큰 혜택을 받은 나에게 LH 경영 정상화는 마지막 소명”이라며 “토지주택 판매증가와 원활한 자금조달을 통해 순조로운 경영을 하면서 토지공사와 주택공사의 통합시너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출범 후 414개, 총 425조원에 달하는 방대한 사업 정리에 나서 현재 몇 지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구의 사업 조정을 완료했다. 신규사업 138개 지구를 포함한 사업조정이 완료되면 사업비 축소 70조원, 사업비 이연효과 40조원 등 총 110조원 내외의 사업조정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LH는 예상했다.
LH 관계자는 “LH의 사업조정은 수요에 기반한 사업타당성 분석을 강화한 사업방식을 도입해 공익사업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는 계기가 됐다”며 “최근 서울시와 경기도의 뉴타운 출구전략도 LH 사업조정 성공이 기폭제가 됐고, 최근에는 방만한 사업으로 부실위기에 처한 공기관이나 지자체에서 LH식 사업조정이 벤치마킹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