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날 오전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세종로국정포럼 특강에 참석한 뒤 자가들을 만나 “지도부는 당헌당규에 따라 공정한 장소에서 선출하게 돼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특히 “과거 ‘이회창 대세론’ 때도 내정설이 있었지만 그때는 그래도 몇 명의 투명한 그룹이 있었다”며 “최측근조차도 (박근혜 비대위원장과) 소통이 안된다는 점을 새누리당이 극복하지 않고서는 국민들께 희망을 줄 수 없다”고 박 비대위원장을 겨냥했다.
그는 박 위원장이 최근 경선룰을 둘러싼 논쟁을 두고 ‘정쟁’이라 지적한 데 대해서도 “민주주의는 다소 시끄러워 보이지만 그것이 바로 통합으로 가는 가장 중요한 모습이라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정당이 다양성과 경쟁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일은 기본”이라며 “새누리당이 민주주의 정당을 지향하고 있는 지, 적막한 사당을 지향해야 하는지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자사는 전날 경기도청이 김 지사와 박 위원장을 비교분석한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건선거’ 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 “전혀 사전에 인지도 못하고, 그 자체가 있는 지도 몰랐다”며 “제가 서민인데 이미지가 무엇이 더 필요한가. 특별한 대책이나 이미지는 필요없다고 생각한다”고 논란을 일축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열린 강연을 통해 “대한민국의 문제는 첫째 소위 배가 부른 것”이라며 “대한민국 인권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렇게 잘 살게 됐는데 어떻게 절망이 이렇게 심하나. 희망이 없는 나라라는데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