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통상교섭본부장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김 당선자는 이날 YTN 라디오 ‘김갑수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이같이 밝힌 뒤, “정부는 검역 강화로서 이번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김 당선자는 “국민의 건강이 위협을 받거나 위험에 처해진다면 어떤 정부라도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통상의 부분에서 보면 이런 문제를 처리할 때는 객관적·합리적 판단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처지가 바뀌어 다른 국가들이 우리나라에 과잉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마침 우리 조사단이 현장을 간다”며 “가서 보면 과연 이것이 단절된 케이스인지, 아니면 산재된 많은 케이스 중에 우연히 발견된 것인지, 과연 이것이 소비자 유통 경로에 유입이 되지는 않았는지 현장에서 파악을 하고, 그 파악된 상황에 따라서 (정부의 입장을)결정하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당선자는 “우리가 사전 대비 형태로 수입 중단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느냐는 주장이 있다”는 질문에는 “그 위험이 현존하고 명백할 때 긴급한 것이고, 언제 닥칠지 모를 위험이 아니라 현존해야 한다”며 “그것을 우리가 아주 주관적으로 알 수가 없으니 그 자체가 긴급이라고 하는 것은 그런 축적된 기준들을 전부 부인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민주통합당이 수입위생조건을 대폭 강화해 쇠고기 재협상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대해서는 “제가 추가 협상에 나서면서 연령제한을 두고 유해물질의 범위를 보다 넓혀서 확정했다”며 “이미 우리가 갖고 있는 한·미 간 합의는 30개월 이상 소라도 유해물질을 제거하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한 국제기준보다도 더 엄격하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