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美 쇠고기 광우병, 넓게 퍼졌거나 유통경로 유입 됐다고 보기 어렵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30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새누리당 김종훈(서울 강남을) 당선자는 30일 광우병이 발생해 수입과 검역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광우병이 발견된 소가 젖소이고 비정형의 늙은 소라는 것으로 봐서는 (광우병이) 넓게 퍼져있다거나 (소비자 유통경로에)이미 유입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 통상교섭본부장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김 당선자는 이날 YTN 라디오 ‘김갑수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이같이 밝힌 뒤, “정부는 검역 강화로서 이번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김 당선자는 “국민의 건강이 위협을 받거나 위험에 처해진다면 어떤 정부라도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통상의 부분에서 보면 이런 문제를 처리할 때는 객관적·합리적 판단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처지가 바뀌어 다른 국가들이 우리나라에 과잉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마침 우리 조사단이 현장을 간다”며 “가서 보면 과연 이것이 단절된 케이스인지, 아니면 산재된 많은 케이스 중에 우연히 발견된 것인지, 과연 이것이 소비자 유통 경로에 유입이 되지는 않았는지 현장에서 파악을 하고, 그 파악된 상황에 따라서 (정부의 입장을)결정하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당선자는 또 ‘광우병이 추가 발생한다면 그래서 국민의 건강에 위협이 된다면 수입을 바로 중단하겠다’는 2008년 정부의 광고에 대한 질문에는 “특별히 기억하고 있지는 않다”면서 “제가 미국과 합의를 하고 발표할 때나, 그 이후에 당시 총리께서 담화문을 발표할 때도, 수입 중단을 할 때는 우리 국민의 건강에 위험이 쳐하면, 이라는 문구를 저는 일관되게 써 왔다. 그런데 아마 광고에서는 그런 것을 짧은 지면에 장황하게 길게 쓰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지않았나 추측한다”고 설명했다.

김 당선자는 “우리가 사전 대비 형태로 수입 중단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느냐는 주장이 있다”는 질문에는 “그 위험이 현존하고 명백할 때 긴급한 것이고, 언제 닥칠지 모를 위험이 아니라 현존해야 한다”며 “그것을 우리가 아주 주관적으로 알 수가 없으니 그 자체가 긴급이라고 하는 것은 그런 축적된 기준들을 전부 부인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민주통합당이 수입위생조건을 대폭 강화해 쇠고기 재협상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대해서는 “제가 추가 협상에 나서면서 연령제한을 두고 유해물질의 범위를 보다 넓혀서 확정했다”며 “이미 우리가 갖고 있는 한·미 간 합의는 30개월 이상 소라도 유해물질을 제거하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한 국제기준보다도 더 엄격하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