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상용 서울아산병원 교수(왼쪽)가 줄기세포 치료에 성공한 박모씨의 팔 근력을 측정하고 있다. |
전상용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만성척수손상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자가골수 중간엽 줄기세포를 손상된 척수 부위에 주입해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 10명 중 3명에서 일상생활이 개선되는 등 증상이 호전되는 변화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인 미국신경외과학회 공식학술지(Neurosurgery) 최신 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를 통해 자가골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한 척수 손상 부분의 상처가 사라진 것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 10명은 최소 1개월에서 최대 8년의 만성척수손상 환자로 이 가운데 3명은 일상생활이 개선될 만큼 팔의 운동 기능이 향상됐다.
이들 중 1명은 불완전한 감각이 있을 뿐 운동 기능이 없었으나 6단계로 나뉜 손가락 운동 측정 결과 2단계인 ‘수축은 가능하나 관절 운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6단계인 ‘능동적 정상 관절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크게 좋아졌다.
전 교수는 “줄기세포를 주입한 척수 부분에서 신경학적으로 호전된 증거를 제시한 연구 결과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하고 “몇몇 환자에서 팔의 일부 힘만 좋아졌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줄기세포의 치료 효율이 높지 않을 수 있어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