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날 여의도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던 사람도 청와대에 들어가면 많은 의혹이 일어난다”며 “청와대에 들어가기 전부터 의혹이 있다면 들어가고 나서 더 큰 의혹이 될까 두렵다”고 밝혔다.
정수장학회는 박 비대위원장이 이사장으로 있었던 곳으로 지난 총선 과정에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을 비롯한 야당에서 고(故) 김지태씨로부터 부일장학회를 빼앗아 정수장학회를 설립했고 박 위원장이 여전히 정수장학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박 위원장은 이에 정수장학회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일축해 왔다.
김 지사는 다만 정수장학회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다만 “우리 사회에는 부와 권력 세습에 대한 거부 반응이 많다. 권력 획득과정이 정당하지 않은 부분도 있고 (재산)축적과정도 정당하지 않아 그런 부분이 있다”며 “이 시대가 통합의 리더십을 원하는데 세습 리더십으로는 통합에 약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거듭 박 비대위위원장을 겨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 지사는 또 당 대선 후보 경선룰과 관련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란에 대해 “쉽지 않은 이유가 ‘박심’(朴心ㆍ박근혜 마음) 때문”이라며 “박심이 동의하지 않는 것 이외에 무슨 이유가 있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 측근 비리 문제의 근절을 강조하며 청와대 수석제 폐지, 대통령-장관 직접 협의, 총리권한 강화, 국회의원의 장관 겸직 금지, 대통령 국회출석 정례화, 대통령 직속 부패척결위원회 설치 등을 공약으로 제시가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경선 부정 사태에 대해 “주사파의 핵심은 수령론으로, 수령은 영생불멸이며 수령에 충성하는 것이 인민의 목적이자 의무로 규정돼 있는데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대한민국에 있다는 게 경악스럽다”면서 “감옥에서 간첩들하고 오래 살았는데 그들은 수령을 위해 사람을 죽이고 폭탄을 던지는 등 죄의식이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