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는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6일 비대위원 인선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박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에 김우남·노영민·박기춘 의원(이상 3선), 김현미·김태년 의원(이상 재선), 김관영·민홍철·이학영·최민희·한정애·홍의락 의원(이상 초선), 원외에서 고연호(서울은평을)·송영철(강릉) 지역위원장 등 13명을 선임했다.
아울러 19대 국회 첫 상임위 구성과 관련해서도 법사위원회의 경우 박영선 의원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진용을 구축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이 같은 비대위 구성은 계파와 출신을 적절히 안배했다는 평가로, 친손(친 정세균)·486 등 소외된 계파의 특별한 반발없이 당무가 진행되는 모습니다.
실제로 김한길 당선자는 지난 5일 본인의 트위터에 박지원 원내대표의 경선 승리와 관련해 “계파정치를 지지하는 의미는 아닐 것”이라며 “이제는 ‘친노(친노무현)’니 ‘친호남’이니 하는 명찰을 다 떼어버리고 모두가 ‘대선승리’라는 하나의 명찰을 달고 한마음으로 뭉쳐야 할 때”라고 결속을 다지기도 했다.
이는 원내대표 경선이 2차 투표까지 가는 접전 속에서도 결국엔 박지원 원내대표로 몰리자 당내 ‘대세론’을 일부 수용하겠단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된다.
김 당선자는 다음달 9일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출마가 유력하며, 그동안 ‘이해찬 당대표-박지원 원내대표 역할분담론’을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다만 전당대회까지 '이-박 연대'가 순항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박 원내대표가 공정경선을 선언한만큼 친노-비노 계파 갈등을 어느정도 감수해야 하며, 비노에 힘을 실어줄 경우 자칫 연대노선이 와해될 수도 있다.
더구나 무계파 인사들과 친손·486 인사들이 아직 제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으나, 이-박 연대에 대한 불만이 잠복해 있는 것도 사실이라 경선룰과 선거인단 결정과 관련해 분란이 표출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